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우리가 매일 씹는 껌, 그 안에 고무와 왁스가 들어 있다고?

by 슬기로운 김씨 2025. 4. 19.
728x90
반응형

 


출근길, 집중이 필요할 때, 입이 심심할 때 무심코 꺼내 드는 껌.
그런데 혹시 껌에 고무나 왁스가 들어 있다는 말, 들어본 적 있나요?
단순한 캔디인 줄 알았던 껌 속에 플라스틱, 접착제 원료, 심지어 자동차 타이어 원료와 유사한 성분이 들어 있다면 믿기 어렵겠죠.
하지만, 그건 꽤 사실에 가까운 이야기입니다.

더보기

목차

  1. 껌에 고무와 왁스? 진짜일까?
  2. 고무와 왁스 성분, 건강에 정말 괜찮을까?
  3. 껌을 씹을 때 꼭 알아야 할 3가지 습관
  4. 마무리 : 껌, 알고 씹자!

 

1. 껌에 고무와 왁스? 진짜일까? 🙊


껌의 핵심은 ‘껌 베이스(Gum Base)’입니다.
이건 먹는 게 아니라 씹기 위한 비가식성 성분인데, 주로 다음과 같은 물질로 만들어져요.

  • 합성 고무(부틸 고무) : 자동차 타이어에 쓰이는 것과 유사한 구조
  •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 공업용 접착제에 사용되지만, 식품 등급으로 정제
  • 폴리에틸렌 : 일상에서 흔히 접하는 플라스틱 원료
  • 왁스류(파라핀, 카나우바) : 껌 표면의 광택과 끈적임 방지를 위해 사용

여기서 왁스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자동차 광택제나 바닥 왁스와는 다르지만, 기본 구조는 놀랍게도 유사한 화합물입니다.
식품용으로 정제된 것이긴 하지만, 씹고 뱉는 제품에 이런 성분들이 들어간다는 것만으로도 놀랍지 않나요?



 

2. 고무와 왁스 성분, 건강에 정말 괜찮을까? 🧐

결론부터 말하면, 대부분의 성분은 국제적으로 ‘식품첨가물’로 허용된 물질이에요.
미국 FDA, 유럽 식품안전청(EFSA)에서도 식용 수준의 안전성을 인정받았고,

삼키지 않고 씹기만 한다는 전제하에 문제는 거의 없습니다.

⚠️ 하지만 다음과 같은 영향은 주의할 필요가 있어요.

 

  • 턱관절에 무리 : 장시간 씹는 습관은 TMJ(턱관절 장애)를 유발할 수 있음
  • 위장에 부담 : 침 분비가 촉진돼 위산 분비가 늘어나면서 속 쓰림 유발 가능
  • 당알코올 과다 섭취 : 자일리톨, 소르비톨 등이 포함된 껌을 과하게 씹으면 설사나 복부팽만감 초래

무엇보다 껌을 뱉고 버릴 경우, 환경 오염 문제도 심각합니다.

껌 속 합성 고무와 왁스는 분해되지 않는 미세 플라스틱이기 때문이죠.


 

3. 껌을 씹을 때 꼭 알아야 할 3가지 습관 🎯

  1. 하루 3~4개 이하로 적당히
  2. 성분표 확인은 필수! 합성 고무 대신 천연 껌 베이스를 쓰는 제품도 있어요.
  3. 껌은 반드시 휴지통에! 함부로 뱉으면 도시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주범이 됩니다.

 



마무리.

껌에 들어있는 합성수지, 고무 성분은 식용으로 인정된 안전한 성분들이지만, 지속적인 과다 사용은 위장 문제나 턱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환경적으로는 배출 시 유해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껌 하나에도 우리가 생각하지 못한 화학과 건강, 환경 이슈가 숨어 있습니다.
단순한 습관도 알고 씹는다면 훨씬 더 현명한 소비가 되겠죠?

728x90
반응형